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김효정 교수는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라는 주제로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의사소통 요소들 중 더 강화해야 할 것과 유지해야 할 것 등에 대한 정보와 관련 한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언어치료학회의 학술지인 언어치료 연구 30권 1호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김효정 교수의 주요 연구분야는 유창성 장애이며 한국언어치료학회 이사, 전국언어치료학과교수협의회 부회장, 한국언어재활사협회 홍보위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어치료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municative Ability
한국언어치료학회 | 언어치료연구 | 언어치료연구 제30권 제1호 | 2021.01 | 115 – 123 (9 pages) | KCI등재
DOI : 10.15724/jslhd.2021.30.1.115
초록
목적 : 이 연구는 유치, 초·중·고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인식정도를 조사하고, 교사들의 학교급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 중요도나 수행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의사소통 요소들 중 더 강화해야 할 것과 유지해야 할 것 등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전국의 유치, 초·중·고등교사 144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구어 및 언어 관련 영역 5개 영역 14문항과 전반적 의사소통 관련 영역 5개 영역 19문항으로 총 3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5점 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결과 : 교사들은 의사소통능력 요소 중 조음능력, 해석능력, 비언어능력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해석능력, 비언어능력, 조음능력에 대한 수행도가 높다고 응답하였다. 비언어능력, 역할수행능력, 메시지전환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은 중요도와 수행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교사들이 남자교사보다 음성, 비언어, 역할수행능력의 수행도가 높게 나타났고, 20대 교사보다는 30대, 40대, 50대 교사들의 조음과 유창성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유치원이나 초등교사보다 고등교사가 몇몇 의사소통관련 요소에 대해 중요도와 수행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별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중요도가 높은 의사소통 요소에 대한 수행도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 : 교사들의 의사소통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이 높게 나타나 의사소통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요소들 중 계속 유지 관리가 필요한 요소와 중요도 수준에 맞게 개선이 필요한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communicative skills fo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reas to be strengthened and maintained among communicative skill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eachers.
Methods :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with a total of 144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nationwide. The 5-point scal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3 questions, with 14 questions in five areas related to speech and language, and 19 questions in five areas related to overall communication.
Results :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was high in articulation, interpretation, and non-verbal ability. Except for non-verbal, role performance, and message conversion abil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remaining skills. Female teac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teachers in the performance of voice, non-verbal, and role performa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ir articulation and fluency skills, teachers in their 30s, 40s, and 50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20s.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ome communication skills higher than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metrics, the performance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with high importance was also high.
Conclusions : Teach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skills was high, indicating that the interest in communication was high.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customized measure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eachers can b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