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김효정 교수

김효정교수   |   Hyojung Kim Ph.D., SLP

  • 연구실: 비전관 4108호

  • 연구분야: 유창성장애

  • 관련교과목: 유창성장애, 학령기언어장애

  • 전화: 051.990.2436

  • 이메일: newkimhj@kosin.ac.kr

Biography


김효정 교수(학과장)는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순천제일대학교에를 거쳐 2018년부터 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김효정 교수는 유창성장애평가, 학령기언어장애, 언어치료 교수학습법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학령기 아동의 심리언어학적 관점 유창성장애 평가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전국언어치료학과교수협의회 부회장, 한국언어치료학회 이사, 언어치료연구 편집위원장, 한국언어재활사협회 대의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Education


박사, 대구대학교(Daegu University)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20xx년
석사, 대구대학교(Daegu University)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20xx년
학사, 대구대학교(Daegu University) 언어치료학과 | 199x년

Experiences


2018 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조교수
2000 순천제일대학교 언어치료과 교수

Awards and Recognition


2020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3 | 우수논문상 | 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Publications & Research


신명선, 김효정, 장현진 (2021). 교사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언어치료연구, 30(1), 115-123.

Shin, M. S., Kim, H. J., & Chang, H. J. (2020).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5(3), 710-720.

Kim, H. J., Chang, H. J., & Shin, M. S. (2020). Trend Analysis of Adolescent Stuttering Research Using Text Mining an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Speech-Language Hearing Research, 29(4), 1-12.

Chang, H. J., Shin, M. S., & Kim, H. J. (2020).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the Adolescent Stuttering Treatment Program. Journal of Speech-Language Hearing Research, 29(2), 125-135.

Shin, M. S., Kim, H. J., & Chang, H. J. (2019). Research on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 Stuttering Anxiety Test. Journal of Speech-Language Hearing Research, 28(3), 1-7.

김효정, 신명선 (2019). 국내외 아동 말더듬 중재에 대한 문헌 고찰. 언어치료연구, 28(2), 129-144.

이채원, 이용환, 김효정 (2019). 양육자의 언어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비교. 언어치료연구, 28(4), 145-154.

신명선, 김효정, & 장현진 (2019). 한국 청소년 말더듬 검사 (KAST) 도구 개발 연구: 구어 유창성 평가를 중심으로. 언어치료연구, 28(2), 145-154.

Park, H. R., Hwang, B., Kim, H., Chang, S. A., Choi, S. H., Kim, J., … & Park, H. (2018). National survey on curriculum of speech-language pathology programs in Kore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 788-806.

Chang, S. A., Kim, H. J., Kim, H., Choi, S. H., Hwang, B., Park, H. J., … & Kim, J. (2018). Job searching and postings for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in Kore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 506-518.

Kim, J., Choi, S. H., Kim, H., Chang, S. A., Kim, H. J., Hwang, B., … & Park, H. J. (2018). A nationwide survey on clinical curricula and practica in speech-language pathology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3), 807-828.

김효정, 장선아, 김향희, 황보명, 최성희, 박현린, … 박희준 (2018). 2013~ 2017 언어재활사 구인 공고 분석 연구. 언어치료연구, 27(4), 167-180.

장현진, 신명선, 김효정 (2018). 한국 아동용 말더듬 검사 (KOCS) 의 분석 체계 연구. 언어치료연구, 27(3), 23-32.

Kim, G. H., Lee, Y. W., Park, H. J., Bae, I. H., Lee, B. J., & Kwon, S. B. (2017). Auditory-Perceptual and Acoustic Evaluation in Measuring Dysphonia Severity of Vocal Cord Par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28(2), 106-111.

김근효, 이연우, 박희준, 배인호,  권순복. (2017). ADSV, SpeechTool, Praat 간의 CPP 특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26(3), 99-111.

김근효, 이연우, 박희준, 배인호, 이병주,  권순복. (2017). 성대마비의 음성장애 측정을 위한 청지각적 및 음향학적 평가. J Korean Soc Laryngol Phoniatr Logop, 28(2), 106-111.

배인호, 김근효, 이연우, 박희준, 왕수건, 권순복 (2016). 음성질환의 치료 효과평가에서 CPP 분석의 임상적 적용. 언어치료연구, 25(2), 93-102.

김근효, 이연우, 배인호, 박희준, 이재석, 왕수건,  권순복 (2016). 성문암과 후두백반증 음성의 켑스트럼 분석 및 청지각적 평가: 연장모음과 연속발화. 언어치료연구, 25(3), 135-145.

장현진, 전희숙, 신명선, 김효정. (2014). 초등학생 교육용 기초 어휘 선정 연구: 저학년 중심으로. 언어치료연구, 23(1), 157-170.

장현진, 전희숙, 신명선, 김효정 (2013). 영· 유아의 기초 어휘 선정 연구. 언어치료연구, 22(3), 169-187.

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배인호 교수

배인호교수   |   In-Ho Bae Ph.D., SLP

  • 연구실: 비전관 4107호

  • 연구분야: 음성장애

  • 관련교과목: 음성장애, 말과학, 청각학

  • 전화: 051.990.2436

  • 이메일: voicebae@kosin.ac.kr

Biography


배인호 교수는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에서 인지과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음성언어치료실에서 근무하였으며 2019년부터 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배인호 교수는 음성장애, 성대역동성, 청지각적평가, ICT 응용 언어치료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High-speech videocamera based analysis methodology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언어치료학회(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에서 Meriorious poster award에 선정되었으며, 한국언어치료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대한구순구개열학회 등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한국언어재활사협회, 부산대학교병원에서 표창장을 수여받았다. 한국언어재활사협회 이사, 한국언어치료학회이사, 부산울산경남 언어재활사협회 부지부장, 채움언어심리감각통합발달센터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Education


박사, 부산대학교(Pusan Nationa University) 인지과학협동과정 인지과학 전공 | 2017년
석사, 대구대학교(Daegu University) 재활과학과 언어치료전공 | 2012년
학사, 대구대학교(Daegu University) 언어치료학과 | 2007년

Experiences


2019 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조교수
2008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2016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Training course

Awards and Recognition


2018 | 특허 | Simulator for evaluating vocal cord vibration | 10-1895976-0000
2020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 우수논문상 |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16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5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치료학회
2015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 우수논문상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 우수논문상 | 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2019 | 공로상 | 한국언어재활사협회
2007 | 공로상 | 대구대학교
2015 | 표창장 | 부산대학교병원

Publications & Research   


Park, H. J., Lee, Y. H., & Bae I. H. (2021). The Influence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re Competency-Based Development Level on Re-Education Need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30(2), 

Kim, G. H., Bae, I. H., Park, H. J., & Lee, Y. W. (2021). Comparison of cepstral analysis based on voiced-segment extraction and voice tasks for discriminating dysphonic and normophonic Korean speakers. Journal of Voice, 35(2). 328.e11–328.e22. https://doi.org/10.1016/j.jvoice.2019.09.009

Lee, Y. W., Kim, G. H., Bae, I. H., Park, H. J., & Kwon, S. B. (2021). Korean Voice Catastrophization Index (K-VCI): Validation of the Voice Catastrophization Index for Koreans. Journal of Voice, 35(1), 160.e7–160.e13. https://doi.org/10.1016/j.jvoice.2019.07.020 

Kim, G. H., Lee, Y. W., Bae, I. H., Park, H. J., & Kwon, S. B. (2020). Effect of mobile-based voice therapy on the voice quality of patients with dysphonia. Cinical Archiv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5(3), 1-7. https://doi.org/10.21849/cacd.2020.00290

Lee, Y., Park, H., Bae, I., & Kim, G. (2020). The usefulness of multi voice evaluation: Development of a model for predicting a degree of dysphonia. Journal of Voice.

Park, M., Bae, I. H., & Lee, Y. H. (2020). Awareness of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peech Therapy Among Undergraduates Enrolled in Departmen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1) 2). Journal of Speech, 29(4), 099-108.

Bae, I. H., Wang, S. G., Lee, J. C., Sung, E. S., Kim, S. T., Lee, Y. W., … & Wang, Y. J. (2019). Efficacy of two-dimensional scanning digital kymography in evaluation of atrophic vocal folds. Journal of Voice, 33(4), 554-560.

Bae, I. H., Wang, S. G., Kwon, S. B., Kim, S. T., Sung, E. S., & Lee, J. C. (2019). Clinical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Scanning Digital Kymography in Discrimination of Diplophonia.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62(10), 3643-3654.

Bae, I. H., Sung, E. S., & Lee, J. C. (201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Aging Voice Index (KAV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30(1), 21-27.

Kim, G. H., Lee, Y. W., Bae, I. H., Park, H. J., Wang, S. G., & Kwon, S. B. (2019). Validation of the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in the Korean language. Journal of Voice, 33(6), 948-e1.

Park, J. O., Wang, S. G., Park, D., Bae, I. H., Lee, J. C., Lee, B. J., & Shin, S. C. (2019). The Feasibility of a Prototype Thyroidoscope for Gasless Transoral Endoscopic Thyroidectomy: A Preclinical Cadaver Study. Journal of Laparoendoscopic & Advanced Surgical Techniques, 29(7), 953-957.

Lee, J. C., Wang, S. G., Sung, E. S., Bae, I. H., Kim, S. T., & Lee, Y. W. (2019). Clinical practicability of a newly developed real-time digital kymographic system. Journal of Voice, 33(3), 346-351.

Kim, G. H., Lee, Y. W., Bae, I. H., Park, H. J., Wang, S. G., & Kwon, S. B. (2019). Usefulness of two-dimensional digital kymography in patients with vocal fold scarring. Journal of Voice, 33(6), 906-914.

배인호, 박희준, 안신욱 (2019).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자기인식 수준에 따른 마음이론. 언어치료연구28(2), 19-28.

박화란, 배인호, 이용환 (2019). 언어장애와 언어재활에 대한 소아청소년과 의료인의 인식과 이해. 언어치료연구, 28(4), 155-161.

김근효, 이연우, 배인호, 박희준, 이창윤, 권순복 (2019). 노인성 음성장애에 대한 켑스트럼 분석에서의 무성음 분절 영향. 임상이비인후과, 30(1), 68-76.

Bae, I. H., Lee, J. A., Park, H. J., Kwon, S. B., Bae, I. H., Lee, J. A., … & Kwon, S. B. (2018).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augmented reality-based speech language therapy.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 462-476.

Bae, I., & Kwon, S. (2018). Clinical utility of auditory perceptual assessments in the discrimination of a diplophonic voi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1), 75-81.

Kim, G. H., Lee, J. S., Lee, C. Y., Lee, Y. W., Bae, I. H., Park, H. J., … & Kwon, S. B. (2018). Effects of Injection Laryngoplasty with Hyaluronic Acid in Patients with Vocal Fold Paralysis.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9(6), 354.

Kim, G. H., Lee, Y. Y., Bae, I. H., Park, H. J., Kwon, S. B., Kim, G. H., … & Kwon, S. B. (2018). Application of the New Version of the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with Korean Speak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4), 1091-1101.

Kim, G. H., Lee, Y. W., Bae, I. H., Park, H. J., Lee, B. J., & Kwon, S. B. (2018). Comparison of two versions of the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for quantification of dysphonia severity. Journal of Voice.

Lee, Y. W., Kim, G. H., Bae, I. H., Park, H. J., Wang, S. G., & Kwon, S. B. (2018). The cut-off analysis using visual analogue scale and cepstral assessments on severity of voice disorder.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43(4), 175-180.

Kim, G. H., Lee, Y. W., Park, H. J., Bae, I. H., Lee, B. J., & Kwon, S. B. (2017). Auditory-Perceptual and Acoustic Evaluation in Measuring Dysphonia Severity of Vocal Cord Par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28(2), 106-111.

안병강, 배인호, 박희준,  권순복 (2018). 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동사 표현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27(2), 111-124.

김근효, 이연우, 배인호, 이재석, 이창윤, 박희준, … 권순복. (2018). 기능성 음성장애의 진단을 위한 음향학적, 청지각적 평가. 임상이비인후과, 29(2), 212-222.

김근효, 이연우, 배인호, 박희준, 권순복 (2018). 한국인 화자에서 새로운 버전의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적용.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4), 1091-1101.

김근효, 이연우, 배인호, 박희준, 왕수건, 권순복 (2018). 노인성 음성장애의 중증도 지표로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AVQI) 의 유용성. 임상이비인후과, 29(1), 63-71.

Bae, I., & Kwon, S. (2018). Clinical utility of auditory perceptual assessments in the discrimination of a diplophonic voi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1), 75-81.

Kim, G. H., Lee, Y. W., Park, H. J., Bae, I. H., Lee, B. J., & Kwon, S. B. (2017). Auditory-Perceptual and Acoustic Evaluation in Measuring Dysphonia Severity of Vocal Cord Par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28(2), 106-111.

김근효, 이연우, 박희준, 배인호,  권순복. (2017). ADSV, SpeechTool, Praat 간의 CPP 특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26(3), 99-111.

김근효, 이연우, 박희준, 배인호, 이병주,  권순복. (2017). 성대마비의 음성장애 측정을 위한 청지각적 및 음향학적 평가. J Korean Soc Laryngol Phoniatr Logop, 28(2), 106-111.

배인호, 김근효, 이연우, 박희준, 왕수건, 권순복 (2016). 음성질환의 치료 효과평가에서 CPP 분석의 임상적 적용. 언어치료연구, 25(2), 93-102.

김근효, 이연우, 배인호, 박희준, 이재석, 왕수건,  권순복 (2016). 성문암과 후두백반증 음성의 켑스트럼 분석 및 청지각적 평가: 연장모음과 연속발화. 언어치료연구, 25(3), 135-145.

Bae, I., Kim, G., Lee, Y., Park, H., Kim, J., Lee, I., & Kwon, S. (2015). The effect on intervention program and auditory-perceptual discrimination feature of postlingual cochlear implant adults about pathological voi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9-17.

배인호, 김근효, 박희준, 김진동, 권순복 (2015). 음성인식을 이용한 어음인지역치검사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언어치료연구, 24(4), 103-112.

배인호, 김근효, 이연우, 박희준, 김진동, 이일우, 권순복 (2015). 병리적 음성에 대한 언어습득 이후 인공와우이식 성인의 청지각적 변별특성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말소리와 음성과학, 7(2), 9-17.

김근효, 박희준, 배인호, 이연우, 왕수건, 권순복 (2015). Motor Speech Profile 을 통한 한국 정상화자의 말수행력 특성 분석: 부산, 경남지역 중심으로. 언어치료연구, 24(2), 1-17.

배인호, 박희준, 김근효, 권순복. (2014). 증강현실기반 언어치료 프로그램의 교육적 적용. 언어치료연구, 23(2), 139-152.

배인호, 박희준, 권순복, 이일우, 고의경. (2014). 인공와우 이식에 따른 발성수행력 변화에 관한 연구: 이식 후 1 년. 언어치료연구, 23(1), 253-272.

박희준, 김근효, 배인호, 권순복 (2014). 내전형 연축성 발성장애 화자의 구강 및 후두 교호운동 특성. 언어치료연구, 23(3), 27-34.

학과소개

교수진

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