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발전계획의 목적
2005년도 신설된 본 학과가 경쟁력 있는 유아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고, 유아교육 현장의 질적 변화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장단기 계획을 통해 체계적 변화와 성장을 해 나가야 한다. 따라서 본 학과는 「사랑과 섬김의 유아교육의 전문성 확립」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단기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자 한다.
비전과 목표에 따른 발전계획
전략 및 과제
BEST Teacher 2020+ (Believer + Expert)
BT Project 2025 (Servant Leader + True Cosmopolian)
학과 발전계획 전략 및 특성화
BT Project 2025 핵심전략 |
유아교육과 발전전략 | 특성화실행 | |
---|---|---|---|
전략 | 과제 | ||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
미래희망 학사제도 |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사제도 | 차별화된 교육과정 운영의 교육특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인성함양을 위한 학사운영 | 현장연계프로그램 개편의 현장연계 특성화를 통한 실무능력 향상 | ||
생애주기 맞춤형 교육과정 |
전공교육 과정 운영체계 재정립 | 차별화된 교육과정 운영의 교육특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
현장역량 중심 교육과정 선진화 | 유아교육기관과의 협력 체계망 구축의 현장연계 특성화 특성화된 현장 경험을 위한 선진 유아교육기관 참관실습 확대 |
||
학교 현장연계 학생지원 |
현장역량중심 교수학습 |
수업역량 함양 교수학습 | 유아교육수업에 특화된 교육환경 조성의 교육특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현장이해력 함양 교수 학습 | 시맞춤사업을 통한 현장맞춤형 자격증 취득의 취업맞춤 특성화를 통한 취업 활성화 |
||
최적화된 학생지원 | 정보화체계 구축 | 유아교육수업에 특화된 교육환경 조성의 교육특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
상담 및 장학지원 | 지지적 관계망 및 프로그램의 교육특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
교원양성교수역량 및 행정강화 |
연구전문성 강화 | 연구인력 양성 | 연구와 학문지원을 위한 대학원 운영의 교육특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교원 연구지원 강화 | 유아교육관련 학회 활동 전개의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학과이미지 상승 | ||
예비교원중심 소통행정 | 행정업무 역량 확보 | 유아교육수업에 특화된 교육환경 조성의 교육틍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
교원양성교육환경 및 성과개선 고도화 |
교원진로 성과관리 | 성과관리 방안 구축 | 차별화된 교육과정 운영의 교육특성화를 통한 전문성 강화 |
입학취업 지원체제 구축 | 시맞춤사업을 통한 현장맞춤형 자격증 튀득 및 취업 활성화 | ||
지역국제로 확장된 관계 |
지역봉사 | 학과전공 학술제 및 전시회 개최의 취업 맞춤 특성화를 통한 취업 활성화 | |
국제화 강화 | 특성화된 현장경험을 위한 선진유아교육기관 참관실습 확대의 현장연계 특성화의 실무능력 향상 |